You are looking for information, articles, knowledge about the topic nail salons open on sunday near me 해밀턴 불안 척도 on Google, you do not find the information you need! Here are the best content compiled and compiled by the https://toplist.hotramvillas.vn team, along with other related topics such as: 해밀턴 불안 척도 한국판 해밀턴 불안 척도, Hamilton Anxiety Scale 한글, 해밀턴 불안 척도 pdf, 불안척도 종류, stai 불안척도, ham-a 척도, 불안 측정 도구, 해밀턴 우울 척도
Table of Contents
테스피아
- Article author: blog.daum.net
- Reviews from users: 162
Ratings
- Top rated: 4.7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테스피아 Hamilton 불안 척도 (Hamilton Anxiety Scale :HAS) 10.Hamiton 불안 척도.hwp 척도내용 1) 불안 증상의 심각도 측정. 2) 총 14문항으로 정신적 불안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테스피아 Hamilton 불안 척도 (Hamilton Anxiety Scale :HAS) 10.Hamiton 불안 척도.hwp 척도내용 1) 불안 증상의 심각도 측정. 2) 총 14문항으로 정신적 불안 … Hamilton 불안 척도 (Hamilton Anxiety Scale :HAS) 10.Hamiton 불안 척도.hwp 척도내용 1) 불안 증상의 심각도 측정. 2) 총 14문항으로 정신적 불안 증상과 신체적 불안 증상의 2요인으로 구성…심리검사, 진단평가, 행동수정, 특수교육, ..테스피아
- Table of Contents:

í´ë°í´ ë¶ì ì²ë / ì¬ë¦¬í | ì¬ë¦¬í, ì² íê³¼ ì¸ìì ëí ìê°.
- Article author: ko.sainte-anastasie.org
- Reviews from users: 5136
Ratings
- Top rated: 3.4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í´ë°í´ ë¶ì ì²ë / ì¬ë¦¬í | ì¬ë¦¬í, ì² íê³¼ ì¸ìì ëí ìê°. 해밀턴 불안 척도 (Hamilton Anxiety Scale)는 그것은 사람의 불안의 정도를 측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그것은 어린이와 성인 모두에게 유용합니다. 또한 의사와 정신과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í´ë°í´ ë¶ì ì²ë / ì¬ë¦¬í | ì¬ë¦¬í, ì² íê³¼ ì¸ìì ëí ìê°. 해밀턴 불안 척도 (Hamilton Anxiety Scale)는 그것은 사람의 불안의 정도를 측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그것은 어린이와 성인 모두에게 유용합니다. 또한 의사와 정신과 … í´ë°í´ ë¶ì ì²ë (Hamilton Anxiety Scale)ë íìì ë¶ì ìì¤ì 측ì í기 ìí´ ê°ì¥ ë§ì´ ì¬ì©ëê³ ì í¨í ìì íê° ê²ì¬ ì¤ íëì ëë¤.
- Table of Contents:
í´ë°í´ ë¶ì ì²ëì 목ì
í´ë°í´ ë¶ì ì²ë를 측ì íë í목

The Analysis of Anxiety, Depression, and Type D Personality in Patients with Tinnitus.
- Article author: www.kjorl.org
- Reviews from users: 21290
Ratings
- Top rated: 4.6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The Analysis of Anxiety, Depression, and Type D Personality in Patients with Tinnitus. Hamilton 불안 척도는 불안 증상의 심각도를 측정하기 위해 14개 문항으로 이루어진 반구조화된 면담형식의 도구로 평가자가 평정하도록 되어 있다. 15, 16) 이 척도는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The Analysis of Anxiety, Depression, and Type D Personality in Patients with Tinnitus. Hamilton 불안 척도는 불안 증상의 심각도를 측정하기 위해 14개 문항으로 이루어진 반구조화된 면담형식의 도구로 평가자가 평정하도록 되어 있다. 15, 16) 이 척도는 …
- Table of Contents:

RISS 검색 – 국내학술지논문
- Article author: www.riss.or.kr
- Reviews from users: 13824
Ratings
- Top rated: 4.4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RISS 검색 – 국내학술지논문 정신생리적 변인들은 기저기, 스트레스작업(암산, 이야기 작업) 기간, 휴식기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전환장애 환자군이 정상 대조군보다 해밀턴 불안척도점수,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RISS 검색 – 국내학술지논문 정신생리적 변인들은 기저기, 스트레스작업(암산, 이야기 작업) 기간, 휴식기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전환장애 환자군이 정상 대조군보다 해밀턴 불안척도점수, …
- Table of Contents:
상세검색
상세검색

한국판 해밀턴 우울증평가척도(K-HDRS)의 확인적 요인 분석
- Article author: www.kci.go.kr
- Reviews from users: 29560
Ratings
- Top rated: 4.4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한국판 해밀턴 우울증평가척도(K-HDRS)의 확인적 요인 분석 The Factor Structure of the Korean 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K-HDRS):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 Confirmatory factor analysis·Hamilton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한국판 해밀턴 우울증평가척도(K-HDRS)의 확인적 요인 분석 The Factor Structure of the Korean 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K-HDRS):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 Confirmatory factor analysis·Hamilton … The Factor Structure of the Korean 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K-HDRS):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 Confirmatory factor analysis·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Depression
- Table of Contents:
초록
열기닫기 버튼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인용현황
KCI에서 이 논문을 인용한 논문의 수는 9건입니다
열기닫기 버튼
참고문헌(30)
열기닫기 버튼
2020년 이후 발행 논문의 참고문헌은 현재 구축 중입니다

해밀턴 불안 척도
- Article author: e-rvs.org
- Reviews from users: 24841
Ratings
- Top rated: 3.4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해밀턴 불안 척도 Beck 우울 척도(Beck depression inventory, BDI)는 우울증. 의 심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개발된 자기 … Hamilton 불안 척도(Hamilton anxiety scale, HAM-A)는 불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해밀턴 불안 척도 Beck 우울 척도(Beck depression inventory, BDI)는 우울증. 의 심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개발된 자기 … Hamilton 불안 척도(Hamilton anxiety scale, HAM-A)는 불 …
- Table of Contents:

See more articles in the same category here: 111+ tips for you.
해밀턴 불안 척도는 무엇이며 어떻게 도움이 될 수 있습니까?
평가자 Laura Angers
누구나 걱정하거나 걱정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일상 생활에 방해가되는 불안이 있다면 이는 심각한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정상적인 걱정에서 임상 적 불안에 이르는 선을 넘어 서면 어떻게 알 수 있습니까? 해밀턴 불안 척도는 건강하지 않은 불안을 식별하고 그 심각성을 측정하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출처: royalty.com
해밀턴 불안 척도 란?
1959 년 M. 해밀턴은 불안을 측정하는 수단을 만들었습니다. 당시에는 일반 불안 장애라고 불리는 진단은 없었지만, 그 규모는 그 상태의 많은 증상을 측정합니다. HAM-A라고도 알려진이 척도는 이러한 증상의 심각성을 결정하기 위해 의사와 심리학자가 사용합니다.
HAM-A에있는 품목
해밀턴 불안 척도는 불안이있을 때 겪을 수있는 증상의 종류를 정확하게 나타내는 14 가지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은 Hamilton 불안 척도를 사용하여 심각도에 대해 인식되고 평가됩니다. 다음은 HAM-A의 항목입니다.
불안한 기분
불안이 있다면 기분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걱정할 수도 있습니다. 미래에 대한 두려움을 느낄 수 있습니다. 최악의 상황을 가정하는 것은 쉬운 일이며 계획을 세우기도합니다. 과민증은 불안으로 인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장력
긴장 항목은 정서적, 육체적 긴장을 말합니다. 쉽게 피곤할 수 있습니다. 당신의 놀람 응답이 과장 될 수 있습니다. 찢어지고 쉽게 울 수 있습니다. 떨 리거나 불안 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긴장 때문에 긴장을 풀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두려움
특정 상황에서는 두려움이 당연합니다. 현실적인 두려움 일 때, 그 느낌은 위협에 대처할 준비를하는 데 도움이됩니다. 그러나 실제로 많은 위협을 일으키지 않는 것에 대해 두려워하거나 일관되게 두려워하는 경우 Hamilton Anxiety Scale에서이 항목의 점수가 높을 수 있습니다. 몇 가지 일반적인 두려움은 어둠에 대한 두려움, 낯선 사람에 대한 두려움, 혼자있는 것에 대한 두려움, 교통에 대한 두려움 및 군중에 대한 두려움입니다.
잠 잘 수 없음
HAM-A의 불면증 항목에는 전혀 잠을 자지 못하는 것이 포함됩니다. 그러나 수면 장애, 수면 장애, 수면 후 피곤함, 악몽, 야간 공포, 만족스럽지 못한 수면 등 다른 수면 장애도 평가합니다.
지적인
해밀턴의 규모에서 그는 지적 품목이 집중력이 떨어지거나 기억력이 부족한 것으로 정의합니다. 이 항목은 “인지 증상”이라고도합니다.
우울한 기분
해밀턴은 불안감을 가진 사람들도 우울증을 앓고 있음을 자신의 규모로 인정했습니다. 우울한 기분 항목은 즐거움 상실, 관심 상실, 조기 깨우기 및 기타 우울증 증상을 포함하여 일반적인 우울증 증상을 포함합니다.
출처: royalty.com
체세포 (근육)
신체 증상은 마음과 반대되는 신체와 관련된 증상입니다. 체중계에는 체성 증상을 다루는 두 가지 항목이 있습니다. 첫 번째는 통증, 경련, 경련, 뻣뻣함, 치아 분쇄, 떨리는 목소리 및 단단한 근육을 포함한 근육의 신체 증상을 평가하는 것입니다.
체세포 (감각)
체감 감각 증상은 다른 항목에서 확인됩니다. 이러한 증상은 감각 기관과 관련이 있습니다. 청력은 이명에 영향을받을 수 있습니다. 시력이 흐려질 수 있습니다. 뜨겁고 차가운 느낌이 번갈아 나타날 수 있습니다. 기분이 약할 수 있습니다. 또는 피부가 따끔 거리는 느낌이들 수도 있습니다.
심혈관
당신의 마음도 불안의 영향을받을 수 있습니다. 심박수가 빨라질 수 있습니다. 가슴 통증이있을 수 있습니다. 혈관이 욱신 거릴 수 있습니다. 심장이 박동을 건너 뛸 수 있습니다. 이러한 심장 증상은 또한 희미하게 느낄 수 있습니다.
호흡기
호흡기는 호흡과 관련된 증상의 심각성을 측정합니다. 불안은과 호흡, 호흡 곤란 또는 가슴 압박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그것은 한숨을 많이 쉬게하거나 질식하는 것처럼 느끼게 할 수 있습니다.
위장관
위장 증상은 불안한 사람들에게 흔합니다. 위통, 구역, 구토, 설사, 변비, 충만감, 타는듯한 느낌, 삼키는 데 어려움이있는 소화 관련 증상입니다.
비뇨 생식기
해밀턴의 규모는 또한 생식기 및 비뇨기 건강에 대한 불안의 영향을 측정합니다. 이러한 증상은 조루, 발기 부전 및성에 대한 관심 상실과 같은 성적인 문제와 관련이있을 수 있습니다. 여성 인 경우 월경에 문제가있을 수 있습니다. 해밀턴의 체중계에 대해서는 언급되어 있지 않지만, 소변을보아야하는 급박함과 같은 비뇨기 문제는 불안 할 때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자율
자율 증상은 자율 신경계를 통해 무의식적으로, 자동으로, 무의식적으로 발생하는 증상입니다. 자율 증상은 머리카락이 말리거나 입이 마르고 홍조, 창백함 및 발한과 같은 것입니다.
인터뷰에서의 행동
면담을 진행하는 사람은 질문에 대한 답변에서 제공 한 정보를 통해 많은 것을 배우지 만 면담 중에 행동하는 방식을 통해 배우게됩니다. 해밀턴은 자신의 규모에 대한 인터뷰에서 행동을 구축하여 테스트 제공자가 관찰 내용을 쉽게 포함 할 수 있도록했습니다. 그들이 당신을 fidgeting, 한숨, 빠른 호흡, 떨림 또는 다른 관찰 가능한 행동을 발견하면, 그들은 저울의 마지막 항목에 그것을 포함시킬 수 있습니다.
출처: flickr.com
해밀턴 불안 평가 척도 평가
의사 나 치료사가 귀하를 인터뷰 할 때, 이들 14 개의 항목 각각을 0 ~ 4의 척도로 점수를 매 깁니다. 0은 존재하지 않으며 4는 매우 심합니다. 다음 단계는 14 개의 항목 각각에 대해이 숫자를 합산하여 하나의 총 점수를 얻는 것입니다.
해밀턴 불안 척도는 불안의 심각성을 나타내는 결과를 보여 주도록 설계되었습니다. 14-17 점을 받으면 경미한 불안이 있습니다. 당신의 점수가 18-24이면, 당신은 중간 불안이 있습니다. 25-30 점으로 심각한 불안감을 느끼게됩니다.
해밀턴 불안 척도는 얼마나 신뢰할 수 있습니까?
의사와 연구자들은 수십 년 동안 HAM-A를 사용해 불안의 정도를 평가 해 왔지만, 이 척도가 실제로 얼마나 신뢰할 수 있는지에 대해 많은 논쟁이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한 연구는 Hamilton Anxiety Rating Scale의 신뢰성과 타당성이 충분하다고 제안했습니다. 그러나 같은 연구에서 규모가 충분하지 않아 불안과 우울증에 대한 치료 효과를 판단 할 수 없다고 제안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불안에 대한 해밀턴 등급 척도는 수년 동안 유용한 것으로 판명되어 가까운 미래에 또는 적어도 더 신뢰할 수있는 척도가 개발 될 때까지 계속 사용될 것입니다.
HAM-A는 어떻게 도울 수 있습니까?
불안의 심각성을 측정 할 수있는 척도가 불안 진단에 사용될 수 있다고 가정하는 것이 당연합니다. 그러나 이것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식은 아닙니다. 대신, 주요 목적은 치료 후 및 연구 연구에서 개인이 얼마나 개선되고 있는지 평가하는 것입니다.
연구 중
연구원들은 다양한 유형의 연구에 Hamilton Anxiety Rating Scale을 사용합니다. 일부 연구는 불안의 이해 및 치료와 직접 관련이 있습니다. 다른 사람들은이 척도를 사용하여 다양한 문제와 상황과 관련된 다른 목적에 대한 불안을 측정 할 수 있습니다.
임상 적 사용
해밀턴 불안 척도의 주된 용도는 불안한 사람들을 돕는 것입니다. HAM-A는 일반적으로 치료를 시작할 때 도움을 받기 전에 귀하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제공됩니다. 그런 다음 약물 치료 및 / 또는 치료 과정 후에 다시 도움이되는지 여부와 그 정도를 알아 내기 위해 검사를 다시받습니다.
실제로, 치료 과정 동안 사용 된 치료의 이점을 평가하기 위해 여러 번 제공 될 수있다. 치료가 긍정적 인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 의사 나 치료사는 전술을 바꾸거나 다른 치료법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해밀턴 불안 척도가 필요합니까?
담당 의사 또는 치료사는 HAM-A를 관리 할 계획인지 알려줄 것입니다. 도움이 될 것 같으면 요청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유형의 공식 평가를 전혀 수행하지 않아도됩니다. 치료사는이 척도를 사용하지 않고 귀하의 상태를 적절하게 평가할 수 있습니다.
출처: royalty.com
중요한 것은 당신의 불안이 당신의 인생을 방해하거나 비참하게 만들면 도움을 받는다는 것입니다. 불안 증상이 매우 경미하지 않으면 자발적으로 사라지지 않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대신, 생각과 행동을 변화시키기 위해 적극적인 조치를 취해야합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불안을 극복하기가 더 어려워 지므로 최대한 빨리 도움을받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불안에 대한 도움을 구할 준비가되면 몇 가지 옵션이있을 수 있습니다. 귀하가 할 수있는 한 가지는 BetterHelp.com을 방문하여 면허 상담사에게 불안이나 기타 정신 건강 문제에 대한 도움을 요청하는 것입니다. 당신은 당신의 상황에서 가장 잘 안내 할 수있는 치료사와 어울리기 위해 간단한 설문지를 작성하기 만하면됩니다. 원하는 경우 편리한 개인 온라인 치료를 계속할 수 있습니다.
치료를 통해 두려움에 맞서고, 불안 관리 전략을 배우고, 자신의 개인적 가치와 이상에 기반한 삶을 살 수 있습니다. 불안이 인생의 중심 일 필요는 없습니다. 증상을 최소화하고 정신 건강을 최대화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습니다. 그렇게하면 훨씬 더 즐겁고 편안하며 즐거운 생활을 할 수 있습니다.
해밀턴 불안 척도 / 심리학
해밀턴 불안 척도
해밀턴 불안 척도는 가장 많이 사용되는 심리적 질문지 중 하나입니다. 사람이 겪는 불안의 정도를 분명히하기 위해 그러므로 진단 도구는 아니지만 환자가 어떤 상태에 있는지, 정신병 적 증상이 무엇인지, 두려움과인지 과정을 평가할 수있는 유용하고 매우 효과적인 자료입니다..
이 흥미로운 규모에 관한 사실은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1959 년 Max R Hamilton에서 설계되었으며 현재까지도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 중 하나입니다.. 이 정신과 교수가 분명하게 알고있는 것이 있다면, 영국 심리 학회, 모든 불안 상태가 같지 않다는 것입니다..
나는 장애를 진단하기 위해 다른 도구를 정의하고 싶지 않았다.. 그것은 불안의 심각도를 평가할 수있는 매우 엄격한 자원을 정의하고자했습니다. 또한 사람이이 피곤한 현실에 대한 통제력을 정의 할 때 그 중요성 때문에 체세포의 정신적 인 불안을 차별화합니다.
나중에, 1969 년 Hamilton 박사는 조금 더 나아가 규모를 개선하기를 원했습니다. 따라서 신체적 불안을 중요하게 여기는 항목들, 그는 근육 성 체세포 표지와 감각 체세포 표지를 구별했다.. 이러한 방식으로 가능한 한 빡빡한 테스트를 설계 할 때 그 정도의 세련미를 가지고 우리는 이미이 주제에 대한 분명한 단서를 소개합니다.
각 사람은 특별한 방법으로 불안을 경험합니다.. 따라서 두 가지 유사한 현실이 존재하지 않으며, 모두 동일한 치료 전략을 제공하지는 않습니다.. 우리가 다음에 자세히 설명 할 시험은 각 환자의 특별한 필요에 따라 최대치까지 치료를 맞춤화하기에 매우 적합합니다..
해밀턴 불안 척도의 목적
해밀턴 불안 척도 (Hamilton Anxiety Scale)는 그것은 사람의 불안의 정도를 측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그것은 어린이와 성인 모두에게 유용합니다. 또한 의사와 정신과 의사가 사용할 수있는 도구이기도하지만 특정 장애의 진단을 결정하지는 못합니다 (도움이 될 수는 있지만).
또한 의료 전문가가 이미인지하고있는이 임상 자원에 문제가 있습니다. 해밀턴 불안 척도는 자유롭게 접근 가능합니다., 누구나 악기를 다운로드하거나 온라인 테스트를 수행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많은 사람들이 진단을 받아 의사에게가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나는 심각한 불안을 겪는다. “.
이것이 적절하지 않다고 말해야 만합니다.. 이러한 유형의 검사는 임상 평가의 다른 특성과 마찬가지로 전문적인 전문가가 수행해야합니다. 또한 해밀턴 불안 척도에는 환자가 어떤 상태에서 시험을 수행했는지 연구원이 직접 평가해야하는 또 다른 항목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정신과 의사 캐서린 쉬어 (Katherine Shear)와 밴더 빌트 (Vander Bilt)의 연구에서 밝혀진 바와 같은 연구에서 밝혀지기 때문에 우리는이 측면에서 우리가 엄격한 것이 우선입니다., 해밀턴의 불안 척도에서 검사 시행 중 인터뷰 자체가 좋은 진단의 핵심입니다..
해밀턴 불안 척도를 측정하는 항목
이 악기는 14 개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 질문에는 다섯 가지 응답 옵션이 있습니다. 선물이 없다 ~까지 매우 가혹한. 따라서 17 점 이하의 점수는 경도의 불안감을 나타냅니다. 18 점에서 24 점 사이의 점수는 이미 중등도 불안 상태에 대한 단서를 제공합니다. 마지막으로, 우리가 24에서 30 사이의 점수를 얻으면, 그것은 심각한 불안 상태를 나타낼 것입니다..
테스트를 구성하는 14 개 항목을 살펴 보겠습니다.
불안한 마음 : 일정한 걱정, 생각하거나 상상할 때 고뇌 , 항상 최악의 상황을 예상한다.
: , 항상 최악의 상황을 예상한다. 긴장 : 떨림, 울고 싶은 욕망, 경보 감각 …
두려움 : 홀로 존재한다는 두려움, 어둠, 예기치 않은 일이 일어납니다 …
불면증
인지 문제 : 결정, 집중, 반영, 기억 장애 …
유머 : 낙담, 부정적 감정, 그리고 나쁜 하루가 될 것 같은 느낌, 짜증, 나쁜 기분
신체 근육 : bruxism, 떨림, 근력 강직, 근육통, 떨리는 목소리 …
체세포 감각 : 이명, 흐린 시력, 감기 또는 열감, 약함
심혈관 증상 : 갑작스런 심장 두근 거림 또는 구멍.
그 호흡기 증상 : 호흡 곤란, 압력, 질식 …
위장 증상 : 삼키는 작용, 소화 작용, 변비 또는 설사 …
비뇨 생식기 증상 : 일정한 배뇨, 리비도 부족 …
자율 증상 : 구강 건조, 창백, 발한, 피부 강건 함
전문 평가 : 전문가가 환자를 전반적으로 어떻게 보았는지 평가합니다..
결론적으로 본질적인 면만 강조하면됩니다. 해밀턴의 불안 척도는 공개 자료입니다. 우리가 원하면 그렇게 할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진정으로 평가와 진단을 할 자격이있는 것은 우리의 정신과 의사 또는 심리학자입니다..
나중에 결과에 따라 하나의 전략 또는 다른 전략이 실행됩니다.. 60 대 박사 해밀턴의 목적은 각 사람의 불안 수준에 대한 타이트하고 안정적인 프로필을 얻을 수있게하는 것이 었습니다. 그래야만 우리는 최선의 방법으로, 가장 조정 된 방식으로 행동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환자의 목소리, 위치, 이해하기 쉬운 명확성 또는 정확한 평가를 내리는 데 중요한 질문과 같은 측면을 평가하십시오.
Szondi 테스트, 당신의 성격 중 가장 깊은 것을 드러내는 테스트 szondi 테스트는 가족의 이론에 근거하여 무의식 상태에 있으며 인간의 개성을 억압 된 측면을 파악하려고합니다. 더 읽기 “
The Analysis of Anxiety, Depression, and Type D Personality in Patients with Tinnitus.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Volume 57(1); 2014 > Article Original Article
Otology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2014;57(1): 22-26.
doi: https://doi.org/10.3342/kjorl-hns.2014.57.1.22 The Analysis of Anxiety, Depression, and Type D Personality in Patients with Tinnitus. Yoon Seok Choi, Hyung Gyun Na, Si Youn Song, Yong Dae Kim, Chang Hoon Bae 1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Daegu, Korea. [email protected]
2Regional Center for Respiratory Diseases, Yeungnam University Medical Center, Daegu, Korea. 이명환자에서 불안, 우울, D형 인격의 분석 최윤석1 · 나형균1 · 송시연1 · 김용대1,2 · 배창훈1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두경부외과학교실1;영남대학교병원 권역 호흡기 전문질환센터2; ABSTRACT BACKGROUND AND OBJECTIVES:
Tinnitus is a disease with high prevalence and a wide range of etiologies. Tinnitus has a lot of impact on the patients, causing psychological distress such as anxiety and depression. Type D personality is related to the negative emotions including to anxiety and depression. Therefore,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innitus and anxiety/depression/type D personality.
SUBJECTS AND METHOD:
Ninety three patients with chronic subjective tinnitus, who visited the 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Head Neck Surgery in Yeungnam University Hospital from May, 2012 to October, 2012. The tinnitus patients were asked to complete a survey: regarding demographic data, otologic history,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Hamilton anxiety scale (HAM-A), type D personality scale 14 (DS-14), and tinnitus handicap inventory (THI).
RESULTS:
The tinnitus patients ha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type D personality (58.1%). In the tinnitus patients, as the score of THI increased, the BDI and HAM-A scores increased. As the DS-14 score increased, the THI scores increased.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tinnitus patients have high prevalence of type D personality compared to that shown in the general population. And the handicap of tinnitus is related to anxiety, depression and type D personality. Keywords: AnxietyㆍDepressionㆍTinnitusㆍType D personality Address for correspondence : Chang Hoon Bae, MD, PhD, 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170 Hyeonchung-ro, Nam-gu, Daegu 705-703, Korea
Tel : +82-53-620-3784, Fax : +82-53-628-7884, E-mail : [email protected]
서 론
이명은 외부의 자극이 없는데도 소리를 느끼는 것으로 청각계에서 가장 흔하게 접하는 증상 중의 하나이다. 정상인의 95% 이상에서 일생에 한 번 이상 이명을 경험하며 전체인구의 17%가 이명으로 불편함을 겪고, 이 중 5% 정도가 병원을 찾을 정도로 심한 이명을 호소한다.1,2) 정신의학적 측면에서 이명 환자 중 36.1%가 절망감과 좌절감 등의 감정을 경험하고,3) 불안과 우울증의 빈도도 높다고 알려져 있다.4,5)
D형 인격은 부정적 정서성향(negative affectivity, NA)과 사회적 억제성향(social inhibition, SI)이 동시에 결합되어 있는 성격으로, 일반인보다 우울과 불안, 분노 같은 부정적 정서를 더 많이 경험하며, 사회적 상호작용에 있어 거부와 미보상과 같은 부정적인 감정표현을 억제하는 성향을 특징적으로 가진다.6,7,8,9)
이와 같이 이명이 우울과 불안, 분노 같은 부정적 정서와 깊은 연관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고, D형 인격 또한 부정적 정서를 쉽게 경험하므로, 정신의학적 측면에서의 부정적 정서는 이명의 발생기전과 진단, 치료에 있어 간과할 수 없는 매우 중요한 인자로 추정된다.5)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이명과 부정적 정서인 우울과 불안에 대한 연관성과 더불어 D형 인격에 대한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연구 대상
2012년 5월부터 2012년 10월까지 3개월 이상의 이명을 주 증상으로 본원 이명 클리닉에 방문한 19세에서 75세까지의 이명환자 중 연구 목적을 설명하고 이 연구 시행에 동의한 9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명의 진단을 위해 신체검사, 순음청력검사, 어음청력검사, 임피던스청력검사와 이명도검사를 시행하였고, 이명 클리닉 방문 당시에 타각적 이명, 중이 질환, 정신과적 질환 또는 내과적 기저질환이 있는 이명환자는 연구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연구 방법
환자의 성별과 연령, 이명의 유병기간, 이명의 방향성, 이명의 양상 및 주관적 크기(loudness), 하루 중 이명이 느껴지는 시간의 정도, 이명 불편감 척도, D형 인격 척도, 우울 척도, 불안 척도 등에 대해 문진과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였다. 이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다음과 같다.
이명 설문지
이명 관련 기초 자료 수집을 위해 이명 설문지를 이용하였고, 설문지에는 환자의 성별과 연령, 이명의 유병기간, 이명의 방향성, 이명의 양상 및 주관적 크기, 하루 중 이명이 느껴지는 시간의 정도 등 구체적인 양상을 질문하는 문항이 포함되어 있다. 이명의 주관적 크기의 정도는 10점 척도로 평가하여 1 ~ 3점은 경도, 4 ~ 6점은 중등도, 7점 이상 고도로 판정하였다.
이명 불편감 척도(Tinnitus handicap inventory, THI)
이명 불편감 척도를 이용하여 이명에 의한 주관적인 불편감을 점수화하여 측정하였다. Tinnitus handicap inventory는 전체 25문항으로, 3가지 하위 척도를 가지는데 이는 기능 하위 척도, 정서 하위 척도, 재앙화 하위 척도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의 항목은 0점(아니다), 2점(가끔 그렇다), 4점(그렇다)으로 점수를 기록하게 하여 총점을 구한 후 0 ~ 16점은 정상, 18 ~ 36점은 경도, 38 ~ 56점은 중등도, 58점 이상은 고도의 이명을 가지는 것으로 판정하였다.10,11)
Type D personality scale 14(DS-14)
Type D personality scale 14(DS-14)는 D형 인격의 유무를 알아보기 위한 척도이다. 원래는 24문항으로 되어 있는 것을 수정 보완하여 부정적 정서 영역(NA) 7문항과 사회 억제적 성향(SI) 7문항으로 구성한 것으로 이 연구에서는 한국판 DS-14를 사용하였다.12) 이 척도는 0 ~ 4점 사이의 5점 척도로 평가되며, 부정적 정서 영역과 사회 억제적 성향 모두 10점 이상시 D형 인격이 있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Beck 우울 척도(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이 척도는 Beck에 의해 고안되었으며, 우울증의 심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개발된 자기 보고식 척도이다.13) 정신과 환자의 우울 증상 정도를 평가하고, 정상 집단에서 우울증을 선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총 21개의 문항에 대해 각각 0 ~ 3점으로 평가되어 각 개별 문항의 점수를 합산하여, 0 ~ 10점은 정상, 11 ~ 15점은 경도, 16 ~ 23점은 중등도, 24점 이상은 고도의 우울증을 가지는 것으로 판정하였다.14)
Hamilton 불안 척도(Hamilton anxiety scale, HAM-A)
Hamilton 불안 척도는 불안 증상의 심각도를 측정하기 위해 14개 문항으로 이루어진 반구조화된 면담형식의 도구로 평가자가 평정하도록 되어 있다.15,16) 이 척도는 일반적인 정신적 불안 증상 요인과 인지적이고 신체적인 증상 요인의 2가지 요인으로 구분되어, 각 항목에 대한 심각도를 5점 척도로 평가하여 총점을 구한 후 0 ~ 7점은 정상, 8 ~ 14점은 경도, 15 ~ 23점은 중등도, 24점 이상은 고도의 불안을 가지는 것으로 판정하였다.15,16)
통계적 분석
이명군의 성별과 연령, 이명의 유병기간, 방향, 소리의 양상, 주관적 크기, 하루 중 이명을 느끼는 시간, 지속 시간, 이명의 불편함 정도에 대해 기술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명 불편감 척도와 우울 척도, 불안 척도 또는 D형 인격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통계학적 처리는 SPSS version 19.0(SPSS Inc., Chicago, IL, USA)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Pearson 상관관계 분석을 사용하였고, p값이 0.05 미만인 경우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해석하였다.
결 과
이명의 일반적 성상
이명 환자 93명 중 성별은 남자가 42예, 여자가 51예였고, 연령 분포는 19세에서 75세로 평균 52.7세였다. 이명의 유병기간은 1년 미만이 52예(55.9%), 1년에서 3년 미만이 18예(19.4%), 3년에서 5년 미만이 9예(9.6%), 5년 이상이 14예(15.1%)였고, 이명의 측별 분포는 편측의 경우 우측 31예(33.3%), 좌측 34예(36.6%), 양측의 경우는 28예(30.1%)로 측별 분포에서는 편측이 많이 발생하였다. 이명 환자가 주관적으로 느끼는 의성어는 87예(93.5%)에서 단독 의성어이며 ‘삐 ~ ‘ 와 ‘웅 ~ ‘ , ‘매미소리’ 순으로 많았다. 2종류 이상의 의성어가 들리는 환자는 6예(6.5%)로 바람소리와 쇠 가는 소리 등 여러 종류의 의성어였다. 주관적으로 느끼는 이명의 크기는 중등도가 47예(50.5%)로 가장 많았고, 경도가 28예(30.1%), 고도가 18예(19.4%)의 분포를 보였다. 이명의 지속 정도는 하루 종일 지속된다는 경우가 75예(80.6%)로 가장 많았으며, 1시간 미만이 14예(15.1%)로 그 다음을 차지하였으며, 1 ~ 2시간 사이가 4예(4.3%)의 분포를 보였다(Table 1).
이명 불편감 척도
이명 불편감 척도를 분석한 결과, 불편감이 없는 정상인 경우가 22예(23.6%), 경도의 불편감을 호소하는 경우가 30예(32.3%)로 가장 많았으며, 중증도 불편감을 호소하는 경우는 24예(25.8%), 고도의 불편감을 호소하는 경우는 17예(18.3%)로 가장 낮은 분포를 보였다(Table 2).
DS-14
총 93명의 이명을 호소하는 사람 중 부정적 정서 척도와 사회 억제적 성향 척도에서 모두 10점 이상인 경우는 54예(58.1%)로, 이전 연구들에서 보고된 일반 인구에서 D형 인격의 유병률(21 ~ 38%)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Table 2).6,7,8,9)
Beck 우울척도
이명을 호소하는 환자 중 우울의 정도는 정상의 수치를 보인 경우가 43예(46.2%)로 가장 많았고, 경도의 경우가 27예(29.0%), 중등도의 우울이 있는 경우가 15예(16.1%), 고도의 우울이 있는 경우가 8예(8.7%)였다(Table 2).
Hamilton 불안 척도
이명을 호소하는 환자에서 불안 척도를 살펴보면 정상의 경우가 34예(36.5%)로 가장 많았고, 경도의 경우가 30예(32.3%), 중등도의 경우가 15예(16.1%), 고도의 경우가 각각 14예(15.1%) 순으로 나타났다(Table 2).
이명 불편감 척도와 불안, 우울 또는 D형 인격과의 상관관계
이명 환자에서 이명 불편감 척도와 Beck 우울척도 또는 Hamilton 불안 척도와의 상관관계는 이명 불편감 척도가 높을수록 Beck 우울척도와 Hamilton 불안 척도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Fig. 1A and B). 또한 DS-14의 점수가 높을수록 이명 불편감 척도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Fig. 1C).
고 찰
이명은 외부 원인에 의하지 않고, 청신경 섬유의 자발적인 탈분극으로 외부의 청각 자극 없이 신체 내부에서 만들어지는 소리를 자각하는 증상으로, 단독으로 발생하는 경우는 드물며, 대부분 난청과 현기증, 이충만감 등의 이과적 증상 또는 두통과 전신권태 등의 전신 증상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다.1,2) 또한 이명으로 인해 환자의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은 환자가 처한 여러 가지의 심리 및 정신적 요인, 사회적 요인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17)
최근 새롭게 대두되고 있는 D형 인격은 일반 인구의 21 ~ 38% 정도 차지하며,6,7,8,9) 일반인에 비해 부정적 정서를 유발하는 내외적 스트레스에 취약한 특징을 가지므로 상대적으로 긍정적인 감정이 부족하여 자존감과 주변상황에 대해 스트레스 반응이 높고, 불안과 우울을 더 느끼기 쉬우며 삶의 만족도가 떨어지는 양상을 보인다.18) D형 인격은 국외에서는 심혈관 질환자를 중심으로 연구가 시작된 이후 현재는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D형 인격과 건강상태 및 건강 관련행위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19) 이 연구에서는 정신의학적 측면을 고려해 볼 때 이명이 부정적 정서와 사회 억제 성향을 지닌 D형 인격과의 연관성이 있을 것으로 추정하여, 이명 불편감 척도와 D형 인격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서로의 연관성을 찾아보았다. 이 연구의 결과에서 총 93명의 이명 환자에서 D형 인격을 판정 받은 경우는 54예(58.1%)로, 이전 연구들에서 보고된 일반 인구에서 D형 인격의 유병률(21 ~ 38%)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6,7,8,9) 이명과 우울 또는 불안과의 상관관계는 이명의 불편감이 심할수록 우울과 불안이 같이 심해지는 양상을 보였고, 이명과 D형 인격과의 상관관계에서는 DS-14의 점수가 높을수록 이명 불편감 척도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아졌다. 이는 이명환자에서 불안 또는 우울과 더불어 D형 인격이 이명의 불편감과 관련성이 있음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환자의 이명 불편감 척도 유무에 관점을 두어 그 결과가 주관적이고, 연구 대상의 수, 대조군 선정에 대한 한계점을 가지며, 이명에 대한 치료 후 환자의 정신의학적 변화의 추이를 살펴보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더욱 의미 있는 연구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향후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전반적인 정신의학적 인자를 포함하는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이명 환자에서 불안, 우울과 D형 인격이 이명에 의한 불편감과 관련성이 있다는 기초자료로서의 의의를 가지고, 이명 환자의 진단과 치료에 있어 정신의학적 측면을 반드시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REFERENCES
Snow JB. Epidemiology of tinnitus. In: Howard J, Hoffman MA, George WR, editors. Tinnitus: theory and management. London: BC Decker Inc.;2004. p.16-39. Khedr EM, Ahmed MA, Shawky OA, Mohamed ES, El Attar GS, Mohammad KA. Epidemiological study of chronic tinnitus in Assiut, Egypt. Neuroepidemiology 2010;35(1):45-52. Tyler RS, Baker LJ. Difficulties experienced by tinnitus sufferers. J Speech Hear Disord 1983;48(2):150-4. Hallam RS, Stephens SD. Vestibular disorder and emotional distress. J Psychosom Res 1985;29(4):407-13. Lindberg P, Scott B, Melin L, Lyttkens L. Behavioural therapy in the clinical management of tinnitus. Br J Audiol 1988;22(4):265-72. Denollet J. Type D personality. A potential risk factor refined. J Psychosom Res 2000;49(4):255-66. Denollet J, Sys SU, Stroobant N, Rombouts H, Gillebert TC, Brutsaert DL. Personality as independent predictor of long-term mortality in patients with coronary heart disease. Lancet 1996;347(8999):417-21. Pedersen SS, Denollet J. Type D personality, cardiac events, and impaired quality of life: a review. Eur J Cardiovasc Prev Rehabil 2003;10(4):241-8. Denollet J, Kupper N. Type-D personality, depression, and cardiac prognosis: cortisol dysregulation as a mediating mechanism. J Psychosom Res 2007;62(6):607-9. Newman CW, Jacobson GP, Spitzer JB. Development of the Tinnitus Handicap Inventory. Arch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96;122(2):143-8. Kim JH, Lee SY, Kim CH, Lim SL, Shin JN, Chung WH, et al.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Korean adaptation of the tinnitus handicap inventory. Korean J Otolaryngol-Head Neck Surg 2002;45(4):328-34. Lee MS, Park YM, Lim HE, Song WH, Ahn JC, Kim SH, et al. Preliminary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Korean version of type D personality scale14: internal consistency and construct validity. Korean J Psychosom Med 2007;15(2):81-7. Beck AT, Steer RA. Internal consistencies of the original and revised Beck Depression Inventory. J Clin Psychol 1984;40(6):1365-7. Hahn MH, Yum TH, Shin YW, Kim KH, Yoon DJ, Jung KJ. A Standardization Study of Beck Depression Inventory in Korea.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86;25(3):487-500. Hamilton M. The assessment of anxiety states by rating. Br J Med Psychol 1959;32(1):50-5. Matza LS, Morlock R, Sexton C, Malley K, Feltner D. Identifying HAM-A cutoffs for mild, moderate, and severe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Int J Methods Psychiatr Res 2010;19(4):223-32. Fowler EP. The emotional factor in tinnitus aurium. Laryngoscope 1948;58(2):145-54. Denollet J, Van Heck GL. Psychological risk factors in heart disease: what Type D personality is (not) about. J Psychosom Res 2001;51(3):465-8. Williams L, O’Connor RC, Howard S, Hughes BM, Johnston DW, Hay JL, et al. Type-D personality mechanisms of effect: the role of health-related behavior and social support. J Psychosom Res 2008;64(1):63-9.
So you have finished reading the 해밀턴 불안 척도 topic article, if you find this article useful, please share it. Thank you very much. See more: 한국판 해밀턴 불안 척도, Hamilton Anxiety Scale 한글, 해밀턴 불안 척도 pdf, 불안척도 종류, stai 불안척도, ham-a 척도, 불안 측정 도구, 해밀턴 우울 척도